보청기, 꼭 필요한데 너무 비싸서 망설이고 계신가요?
국민건강보험에서
제공하는 보청기 급여제도를 통해 비용 부담을 확 줄일 수 있습니다.
장애인등록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이 제도,
어떻게 신청하고 얼마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지 지금부터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보청기 급여제도란?
청각장애 등록자가 공단에 등록된 업소에서 보청기를 구입할 경우,
정해진
절차와 기준에 따라 일부 비용을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급여 대상 및 기준
① 편측 지원 기준: 청각장애인 중 보청기 사용이 유효하다고 전문의가 판단한
경우
② 양측 지원 기준: 편측 기준 충족 + 양측 청력 조건 충족 (80dB 미만,
어음명료도 50% 이상 등)
※ 이미 인공와우나 인공중이 이식 수술을 받은 경우 보청기 급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절차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1.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처방전 발급
2. 등록된 판매업소에서 보청기
구입
3. 1개월 착용 후 ‘음장검사’를 통한 효과 확인
4. 검수 후 결과지
포함하여 공단에 서류 제출
필요 서류는?
✔ 보조기기급여 지급청구서
✔ 보청기 처방전
✔ 검수확인서
✔
세금계산서 or 카드영수증
✔ 보청기 사진(바코드 포함)
✔ 표준계약서 등
※ 처방일로부터 6개월 이내 구입한 경우만 급여 가능
후기 적합관리도 지원돼요!
보청기 구입 후 1년이 지나면, 매년 1회 ‘후기 적합관리’ 비용도 지원됩니다.
보청기
상태 확인, 피팅 리포트, 청력 측정 등을 통해 사후관리도 철저히 지원받을 수
있어요.
구분 | 내용 | 비고 |
---|---|---|
급여 대상 | 등록 청각장애인 | 편측/양측 조건 상이 |
보청기 구입처 | 공단 등록된 업체 | 확인 필수 |
검수 기준 | 1개월 착용 후 음장검사 | 청력개선 효과 필요 |
후기관리 지원 | 매년 1회 | 1년 이상 착용 시 |
Q&A
Q. 일반인이 신청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장애 등록된 청각장애인만 보청기 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Q. 병원에서 바로 구입하면 되나요?
A. 공단에 등록된 업체에서 구입해야 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Q. 보청기 가격은 모두 지원되나요?
A. 아니요. 정해진 기준 금액까지만 지원되며, 초과분은 본인 부담입니다.
Q. 양쪽 모두 보청기 급여받을 수 있나요?
A.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양측 급여가 가능하며, 수술 여부에 따라 제외될 수 있습니다.
Q. 후기 적합관리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 보청기 구입 후 1년 이상 사용 후, 관련 서류와 함께 매년 신청 가능합니다.
맺으며
보청기는 단순한 기계가 아닌, 세상과의 연결입니다.
비용 때문에 고민
중이라면, 국민건강보험의 보청기 급여제도를 꼭 활용해보세요.
청력은 삶의 질입니다. 지금부터 현명하게 챙겨보세요!